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83)
WIL-2023/8월 (1) 2023.07.31. ~ 2023.08.06. 📝이번주 목표 1. 실전프로젝트 - 프로젝트 기획 2. 스파르타코딩클럽 Spring 숙련주차 2주차 강의 다시듣기 ✍🏻이번주 목표 달성 여부 ✅ 실전프로젝트 - 프로젝트 기획 2. 스파르타코딩클럽 Spring 숙련주차 2주차 강의 다시듣기 + ✅ CS 공부 💡알게 된 점 총정리(TIL회고) 이번주에는 실전프로젝트의 주제선정 및 기획을 하였다. 6주짜리 프로젝트로 진행된다. 그래서 이것 저것 해보고 싶은 것들도 많았다. 그런데 아직은 실력이 많이 부족해서 그 프로젝트에서 내가 어떠한 기술들을 적용시킬 수 있는지 조차 몰랐다. 또, 프론트엔드분들과 디자이너님과 회의를 할때 이러이러한 부분을 저희 사이트에 넣을 까요?하면 내가 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지 없는지 ..
TIL-230805(항해99 실전 프로젝트-행동대장(5)) 📝오늘 공부한 것 실전 프로젝트 벡엔드 기술적 의사결정 실전 프로젝트 세팅 쿠키, 세션 알게 된 점❗ swagger REST API를 설계, 구축, 문서화 및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되는 OpenAPI 사양을 기반으로 구축된 오픈 소스 도구이다. dependency에 추가하고, 설정들을 하면 코드에 따라 자동으로 API 문서가 수정된다. 아직 한번도 써보진 않았지만 이번 기회에 사용해봐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https://swagger.io/ API Documentation & Design Tools for Teams | Swagger Loved by all • Big & Small Thousands of teams worldwide trust Swagger to deliver better pr..
TIL-230804(항해99 실전 프로젝트-행동대장(4)) 📝오늘 공부한 것 실전 프로젝트 벡엔드 기술적 의사결정 CORS(Cross Origin Resource Sharing) 📌실전프로젝트 - 행동대장 패키지 구조 - 계층형 VS 도메인형 프로젝트의 패키지 구조에 대해서 계층형으로 나눌지 도메인형으로 나눌지를 이야기했다. 지금은 프로젝트의 크기가 작아서 계층형 구조를 사용해도 상관없지만, 대부분 도메인형을 사용하기 때문에 도메인형 구조를 사용하자는 의견을 내었다. application.properties VS application.yaml / application.yml 강의에서는 항상 .properties를 사용했었다. 그리고 저번 미니프로젝트에서는 yml을 사용했었다. yml이 코드중복을 최소화하여 유지보수가 쉽고 복잡한 설정일 때 유용하다고 한다. 그래..
TIL-230803(Primary Key, Foreign Key, HTTP 메서드) 📝오늘 공부한 것 Primary Key, Foreign Key, HTTP 메서드 알게 된 점❗ Primary Key, Foreign Key Primary Key와 Foreign Key 모두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imary Key에는 고유한 값이 포함되는 반면 Foreign Key에는 Primary Key에서 참조하는 값이 포함된다. Primary Key의 주요 특성은 중복될 수 없고 고유하다는 것이다. Primary Key는 테이블의 행을 결정하고 Foreign Key는 테이블 간의 관계를 결정하므로 기능 간에 차이가 있다. Primary Key(기본 키) - 데이터테이블에 있는 유일하게 구분되는 데이터 키 - 고유성 : 유일한 값이기 때문에 중복된 값을 가질 수 없다. ..
TIL-230802(MVC패턴, RDBMS의 정규화) 📝오늘 공부한 것 실전 프로젝트 기획 - '행동대장' MVC 패턴, RDBMS의 정규화 알게 된 점❗ [ mvc 패턴 ] - Model-View-Controller의 약자로,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중 하나 -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Model, View, Controller로 구분하여 각각의 역할을 분리 -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분리함으로써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고, 개발자들 간의 협업을 용이하게 한다. Model -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한다. -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불러오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View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 사용자가 보는 화면과 버튼, 폼 등을 디자인하고 구현한다. Controller - Model과 Vie..
TIL-230801(NoSQL,RDBMS) 📝오늘 공부한 것 데이터베이스 유형(NoSQL, RDBMS) 알게 된 점❗ NoSQL VS RDBMS 주요 차이점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구성하는 방법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는 규칙 기반의 테이블 형식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NoSQL)는 데이터를 연결되지 않은 개별 파일로 저장하며, 문서 또는 리치 미디어 파일과 같은 복잡하고 구조화되지 않은 데이터 유형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연한 데이터 모델을 따르므로 자주 변경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NoSQL Riak, Vodemort, Tokyo, ScyllaDB, MongoDB, CoughDB, Redis 등 대용량 데이터 처리와 비정형 데이터에 적합 정의 :..
TIL-230731(항해99 실전 프로젝트-행동대장(3)) 📝오늘 공부한 것 실전 프로젝트 기획 📌실전 프로젝트 - 행동대장 ⛔문제점 스코프가 계속 커짐.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잡고가지 않다고 보니까 이것저것 계속 기능들이 추가되었다. 그래서 게시판 형태의 CRUD들로만 이루어진 사이트가 되었다. 새로운 것 없이 게시판만 많다보니 '노가성만 크고 성능 최적화나 새로운 기술에 대한 챌린지할 시간이 없을 것 같다'라는 의견이 나왔다. 💯해결 그래서 오늘 하루동안은 프론트는 프론트끼리 백엔드는 백엔드 끼리 해보고싶은 기술, 어떤 프로젝트가 나에게 도움이 될지 등을 생각해보고 다시 주제를 정하기로 하였다. 요즘 트렌드인 스택은 무엇인지, 어떠한 기술들이 많이 쓰이는지, 그리고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무엇을 얻어가고 싶은지 백엔드끼리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리고 현업에 계신 매..
WIL-2023/7월 (4) 2023.07.24. ~ 2023.07.30. 📝이번주 목표 1. 클론코딩 진행 후 발표 2. 스파르타코딩클럽 Spring 심화주차 강의듣기 ✍🏻이번주 목표 달성 여부 ✅ 클론코딩 진행 후 발표 ✅ 스파르타코딩클럽 Spring 심화주차 강의듣기 ✅ 실전 프로젝트 주제선정 및 S.A 작성 💡알게 된 점 총정리(TIL회고) 이번주에 드디어 6주동안 진행할 실전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이번 실전프로젝트에서는 지금까지 항상 구현하던 것이 아닌 새로운 기술에 도전을 해보고 싶었다. 그런데 막상 팀원들과 프로젝트의 주제를 정하고 설계를 하면서 항상 구현하던 CRUD들로만 구성된 프로젝트가 되어버렸다. 팀원이 된 백엔드분들과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도전적인 것을 해보자고 이야기를 해봤지만, 아직 어떠한 기술들이 있고 프로..

728x90